왜 사람들은 호기심을 가지는가?

알고싶은 것에 대한 갈망은 인간의 발전과 성공의 원동력이지만, 한편으로, 호기심에 의해 사람은 큰 실패를 경험 할 수있다. 왜 사람들은 실패를 수반하는 호기심을 가져버리는 것일까?



호기심은 단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도파민 수용체 D4 유전자(DRD4)가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경향"과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편, 유전적 경향에 관계없이 단기간에 많은 것을 배워야하는 유아기는, 호기심을 "작업 수행을 위한 도구"로 사용한다. "영유아에 호기심이 없으면, 발달은 발생하지 않습니다"라고 맨체스터 대학에서 언어 커뮤니케이션의 발달을 가르치는 Katherine Twomey 씨는 말한다.




호기심에 대한 연구는 많고, 1964년의 연구에서는 생후 2개월~6개월의 유아는, 복잡한 시각적 패턴을 보이면 보이는 만큼 흥미를 잃어가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또한 1983년의 연구에서는, 8개월~12개월의 유아는 한 번 장난감에 익숙해지면 새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적 호기심"이라 부르는 이러한 경향은 유아뿐만 아니라, 인간의 성인과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도 볼 수있는 것으로, 지속적인 노출로 흥미를 잃을 때까지, 새로운 것을 탐구하는 동기로 된다는 것.



아기는 태어나서 몇 개월만에 모음을 반복하게 되지만, 이러한 "버블 링"도 지각적인 호기심을 보여준다. 아기는 최초, 해부학 적으로 가능한 임의의 소리로 말하기 시작, 부모가 내는 소리에 가까운 소리에 도달하게된다.


인간뿐만 아니라, 까마귀도 지각 적 호기심을 학습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까마귀가 도구를 사용하여 장치 속에서 먹이를 꺼낼 수있게되는 것은, 환경에 대한 탐구심, 호기심이 도움이되고 있다고한다.


한편, 인간이 눈으로 보이는 것들이 "지적 호기심"이라는 것. 지적 호기심은 지식을 추구, 불확실성을 없애려는 것으로, 지각적 호기심보다 뒤늦게 나타난다. 프린스턴 대학의 인류학 교수 인 아구스틴 푸엔테스 씨는, 지적 호기심이야말로 인간과 다른 동물과를 나누고, 인간 세계의 모든 장소에 진출시킨 기술을 발달시켜 온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호기심에 대한 대가가 수반하기도 한다. 아기는 먼저 바닥을 기는 것이 능숙하면 일어서서 걸으려고한다. 12개월~19개월의 어린이는 일어서서 걸으려고 하는데, 수없이 실패하지만 결국 혼자서 일어서서 걷게된다. 일어서서 걷는 것이 속도도 빠르고 메리트도 크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끝까지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이처럼 실패의 위험이 작은 "호기심"도 있지만, 많은 인류가 호기심에 의해 멸종 한 것도 사실이며, "우리의 대부분은 몇 명의 사람들이 도전하고 실패 해온것을 잊고있다"라고 푸엔테스 씨는 지적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