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통은 운동 후 나타나는 근육의 통증이며, 운동 후 몇 시간에서 며칠이 지난 후 서서히 아파오는게 특징이다. 익숙하지 않은 운동을 한 후에는 침대에서 일어나는 것도 싫어지는 근육통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도대체 왜 근육통이 나오게되는 걸까?"라는 질문에 전문가는 이렇게 답했다.
운동이나 트레이닝으로 몸을 움직이는 것은 일종의 쾌감을 가져다주게되고, 컨디션이 좋아져 "앞으로 일주 코스를 달려보자", "좀 더 무거운 바벨을 들어올리자"라는 욕망이 솟아난다. 그러나, 운동 중에 그런 충족감을 맞았더라도, 다음날 아침이되면 근육통에 시달리게되고, "좀 살살했었으면 좋았을텐데.."라고 후회하는 일도 적지 않다.
뭔가 운동 후에 그런 근육통을 경험 한 적이있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근육통은 운동 직후가 아니라, 운동 후 몇 시간에서 몇 일 후라는 시간 차이로 나타난다.
미국 스포츠 의학 대학(ACSM)에 따르면, 운동 후 24시간에서 72시간 후에 나타나는 근육통은 "발성 근육통(DOMS)"이라고 불리며, 세상에서 말하는 근육통의 대부분이 느린 휘발성 근육통에 포함된다. 지발성 근육통은 어떤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움직이지 않았던 근육을 사용했거나 평소보다 심한 운동을 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것.
근육통은 운동 전문가에도 나타나고 초보자에게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오하이오 주립 대학 웩스나 의학 센터의 스포츠 의학자 인 Michael Jonesco 의사는, "근육통이 발생하는 것은 당신이 운동 할 때 뭔가 잘못을 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당신의 근육이 당겨지고 늘어질 때, 당신의 근육에 뭔가 변화가 일어났다는 표현입니다"라고 말한다.
운동을 할 때는 근육이 수축하여 힘을 만들어내지만, 근육의 수축에 의해 단지 작은 균열이 근육과 인접 조직에 발생한다. 이 작은 균열이 그대로 근육통이된다는 것은 아니고, 몸이 균열을 수리하려고 움직이는 과정에서 근육통이 발생한다. Jonesco 씨는 "근육통은 근육을 복구하는 작업의 부산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근육에 균열이 있는 경우 염증이 발생하고, 칼슘과 같은 전해질이 축적을 시작한다. 또한 2016년에 발표 된 연구에 따르면, 신체의 면역 체계도 근육을 복구하려고 작용, T 세포라고 불리는 림프구의 일종이 근육의 균열로 이송 침투한다. 과학자들은 이 과정이 왜 고통을 일으키는것인가에 대한 이유는 해명하지 않았지만, 균열이 치료될 때 통증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종종 "젖산이 근육 통증의 원인이다"라고 말하는 것도 있지만, 젖산은 근육 통증의 원인 물질이 아니라는 것도 밝혀지고 있다. 1983년 연구에서는, 운동 후에도 유산의 레벨이 상승하지 않더라도 2일 후에 근육통이 나온 것으로 확인되는 등 많은 연구자들은 이미 "젖산에 의해 근육통이나 근육 피로를 유발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있다.
근육통은 결코 나쁜 것이 아니라, 자신의 근육이 이전보다 성장하고 있다는 징후이다. 근육 트레이닝을 좋아하는 사람 중에는 "근육통이 나오면 근육의 진보를 실감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분이 좋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Jonesco 씨에 따르면, 근육통이 나온 후에도 같은 운동을 반복하면 부상의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그다지 권장 할 수 없다고 한다. 대신 Jonesco 씨는 "매우 가벼운 운동을 함으로써 혈액 순환이 좋아지고 손상된 근육의 회복을 도와줍니다"라고 말한다.
한편으로 너무 강렬한 통증과 며칠 동안 근육통이 지속되면 심각한 근육 손상이 발생하고, 신장 등 내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고통이 없거나 소변의 색이 검은 색이나 갈색으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는 것.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근육통은 근육이 상처를 이전보다 강하게 회복시키고 있는 징후이며, "만약 근육 트레이닝 후 근육통이 없다면 더 강한 부하에 도전해야 할지도 모릅니다"라고 Jonesco 씨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