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지난 몇 년, MacOS 탑재 PC보다도 iOS 단말기 중시의 자세를 선명하게 하고있다. 이 트렌드는 노트북에서 특히 현저하다. 이 회사 CEO 인 팀 쿡은 노트북의 대체품으로 iPad를 내세우고 있으며, 현재 선두의 태블릿 시장에서 새로운 점유율 확대를 도모하고자하는 것 같다.
애플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Android 태블릿 제조 업체는 대항하는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애플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것은 윈도우 10 태블릿이다. 마이크로 소프트는 "Surface 3"로 애플이 목표로하는 방향성을 재빨리 구현했다. Surface 3는 윈도우 10을 탑재하고, 키보드를 설치하면 완전 노트북처럼 사용할 수 있다.
삼성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발표 한 "갤럭시 북(Galaxy Book)"도 윈도우 10을 탑재하고 있다. 삼성은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 축적 된 노하우를 살리면서, OS에는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윈도우 10을 채용했다고 한다.
윈도우 10 태블릿의 강점은 소비자가 처음부터 "윈도우 컴퓨터"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응용 프로그램이나 게임을 다운로드 하거나 다른 장치와 동기화 할 수 있는 등 친숙한 윈도우 PC와 같은 조작이 가능한 것은 사용자에게 큰 매력이다. 따라서 컴퓨터 대신 윈도우 10 태블릿을 구입하려고 생각하고 있는 소비자는 많을 것이다.
iPad도 최신 노트북에 필적하는 기본 성능을 갖추고 있지만, 많은 소비자는 그것을 이해하지 않는다. 여기에는 애플의 마케팅 기법이 크게 영향을 주고있다. 이 회사는 필기 입력이나 파일에 메모를 보낼 수 있는 것과같은 기능의 홍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가장 전해야 할 메시지가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이대로 윈도우 10 태블릿이 노트북의 대체품으로 적합하다는 이미지가 정착해버린다면, 애플과 팀 쿡은 앞으로 힘든 싸움을 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