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숫자의 조합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이 연구는 베를린 공대, 울름 대학, 미시간 대학 연구팀에 의한 연구팀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Android용 전용 로그인 시스템 "EmojiAuth"을 개발하여 단말기의 잠금에서 이모티콘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있다.
최신 스마트폰은 지문이나 홍채 인증 등을 통한 로그인 방식이 사용되게 되어왔지만, 그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지금도 알파벳 문자의 조합을 사용하여 로그인 방식이나 숫자의 조합을 사용하는 PIN 코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알파벳 문자열을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입력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고 4자리에서 6자리 정도의 PIN 코드도 보안면에서 안전성이 높다고 단언할 수 없는 상태다. 그래서 연구팀은 기억하기 쉬운 숫자나 문자가 아니라 더 판별이 어려운 이모티콘을 사용하면 안전한 로그인 방식이 되지 않을까 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먼저 선행된 검증에서는, 53인의 참가자를 "이모티콘 사용" 그룹의 27명과, "PIN을 사용"하는 26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했다. 그랬더니,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그룹에서는, "이모티콘 키보드상의 패턴을 사용하는 사람"과 "스스로 좋아하는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사람", 그리고 "이모티콘으로 스토리를 만들어 기억"이라는 세가지 주요 패턴을 보였다는 것. 한 참가자는 자신의 머릿속으로 노래를 부르면서 해당 이모티콘을 입력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참가자는 이후 1주일의 시간을 두고 다시 같은 방법으로 암호를 입력하고 어느 정도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했다. 그랬더니, 어떤 방법도 참가자의 기억에 남아 있었지만, 이모티콘보다 PIN 코드를 쓴 사람쪽이 약간 정확도가 높았다는 것. 그러나 이모티콘을 쓴 사람은 PIN 코드보다 암호를 입력하는 것을 즐기며 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다음에 행해진 실험에서는 41명의 피험자가 참여하여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검증했다. 연구팀은 참가자의 Android 스마느폰에서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을 제거하기 위한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설치하여 절반은 이모티콘, 나머지 절반은 PIN 코드로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을 2주 동안 확인 시켰다는 것.
그랬더니,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이모티콘 그룹의 사용자는 3가지 패턴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했다는 것. 또한, 이쪽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이모티콘 및 PIN 코드 둘다 기억 확률은 같았고, 이모티콘을 사용한 그룹쪽이 즐기면서 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이모티콘을 사용한 방법 쪽이 "도난"에 의한 암호의 유출 위험이 낮았다는 것. 세 번째 검증에서는 참가자에 연구원이 입력하는 암호를 뒤에서 훔쳐보고서 기억하여 확인했지만, 그 결과 무작위로 6가지의 이모티콘을 표시하고 선택한 방법이 가장 기억해내기 어려운 방법이었다는 것.
한편 4개 또는 6개의 이모티콘 패턴 또는 4자리 또는 6자리 숫자를 사용한 잠금 해제 방법은 비교적 기억하기 쉽고, 단순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처럼 이모티콘을 사용한 잠금 해제 방법은, 기존의 PIN 코드와 비슷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더 높은 보안성을 갖추고 있다고 말할수 있고, 또한 "더 즐겁게 입력할 수 있다"라는 특징도 갖추고 있다라는 것. 연구팀에 의한 논문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